본문 바로가기
독서

(돌덩이)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책소개, 발췌문, 감상문

by 돌덩이, 2024. 2. 5.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지금부터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책소개 책추천 북리뷰 서평 독후감 관련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아래 글을 통해 책소개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평 독후감 제작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책소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모든 순간의 물리학의 저자 카를로 로벨리 최신작. 이 책은 북해의 섬 헬골란트에서 스물세 살의 독일 청년이 발견한 양자론에 대한 아이디어로 시작한다. 그의 이름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헬골란트 섬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양자론의 탄생과 해석들, 그로 인한 혼란 그리고 오직 상호작용으로만 이루어진 세계의 실체, 양자론의 관계론적해석에까지 이른다. 우리는 이 세상을 물질의 측면에서 생각하지만, 사실 현실이라고 부르는 이 세계는 상호작용하는 실체들의 광대한 네트워크. 대상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바로 그 대상 자체인 것이다. 소년이 돌을 던지고, 돌은 날아가 공기를 움직이고, 나무는 태양으로부터 산소를 만들고, 사람들은 산소를 마시고, 산소를 마신 사람들은 별을 보고. 이 세계는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있다. 전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대상이 있다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카를로 로벨리의 양자 이론이 밝히는 세계의 실재를 통해, 우리는 지금껏 전혀 보지 못했던 눈부신 현실의 실체를 직접 만져보는 듯한 경험을 한다. 동시에 우리의 선입견에 계속해서 의문을 던진다. 물질이 아닌 관계로만 이루어졌다면 이 세상의 기본 실체는 무엇일까? 세계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어디에 고정시켜야 할까? 나의 생각과 주관성, 가치, 아름다움, 의미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그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함께 탐구하며,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과 우주 안에서 우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는 명쾌한 방법을 제시한다.

 발췌문

1925년 여름, 스물세 살의 한 독일 청년이 바람이 많이 부는 북해의 외딴 섬, ‘성스러운 섬이라는 뜻의 헬골란트 섬에서 며칠 동안 불안한 고독의 나날을 보냅니다. 그리고 그 섬에서 그는 모든 난해한 사실을 설명하고 양자역학의 수학적 구조인 양자론을 구축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아마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 혁명이었을 겁니다. 청년의 이름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였죠. 이 책의 이야기는 그로부터 시작됩니다. 우리는 이 세상을 대상과 사물, 실체(과학 전문용어로 물리계라고 부르는 것)의 측면에서 생각합니다. 광자, 고양이, , 시계, 나무, 소년, 마을, 무지개, 행성, 은하단 등등그러나 이 대상들은 각자 고고한 고독 속에 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서로에게 작용하고만 있을 뿐입니다. 우리가 자연을 이해하려면 고립된 대상이 아니라 이러한 상호작용에 주목해야 합니다. 고양이가 똑딱거리는 시계 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소년이 돌을 던지고, 돌은 날아가 공기를 움직이고, 다른 돌에 부딪혀 그 돌을 움직이고, 그 돌은 떨어져 땅을 누릅니다. 한 그루의 나무가 태양빛에서 에너지를 얻어 산소를 만들고, 마을 사람들은 그 산소를 마시며 별을 관찰합니다. 그리고 별들은 다른 별들의 중력에 이끌려 은하 속을 움직여갑니다. 우리가 관찰하고 있는 이 세계는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상호작용의 촘촘한 그물망입니다. 우리가 세계라고 부르며, 그 속에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느끼는, 빛으로 가득한 이 마법의 만화경. 우리가 정신이라고 부르는 연약한 베일은 바로 이 무한한 신비를 탐색하기 위한 서투른 도구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손에 든 지도를 믿고 의심 없이 세계를 건널 수 있습니다. 그렇게도 충분히 잘 살 수 있고요. 세계의 빛과 무한한 아름다움에 그저 압도된 채로 말없이 앉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참을성 있게 책상 앞에 앉아 촛불을 켜고 노트북을 열고, 실험실에 가서 친구나 논적과 논쟁을 벌이고, 성스러운 섬에 틀어박혀 계산을 하고, 새벽녘에 바위산을 기어오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차를 마시고 벽난로 불을 지피고 다시 자판을 두드리면서 몇 가지를 조금 더 이해하고, 기존의 해도를 집어 들어 그 한 부분이라도 더 낫게 만드는 일에 힘을 보탤 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자연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죠. 우리 인간이 서로 부딪혀 튀어오르는 작은 돌멩이들로만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고 상상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돌멩이 하나도 광활한 세계입니다. 확률과 상호작용이 요동치는, 이글거리는 양자들의 은하계죠. 다른 한편 우리가 이라고 부르는 것은 의미들이 우리의 생각 속에 겹겹이 쌓인 층으로, 이는 점과 같은 상대적인 물리적 사건들의 은하계와 우리 사이의 상호작용이 불러일으킨 것입니다. ‘단순한 물질이 흩어져 복잡한 층이 되어, 갑자기 단순하지 않게 보입니다. 희미하게 풀린 우리의 정신과 단순한 물질 사이의 간극은 어쩌면 뛰어넘을 수 있을 것처럼 보입니다. 관계적 관점에 설 때 우리는 주체/객체, 물질/정신의 이원론에서, 실재/사고 또는 뇌/의식의 환원 불가능해 보이는 이원론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 몸 안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밝히고 그것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밝히고 나면, 그 후에 이해해야 할 무엇이 더 남아 있을까요? 이러한 과정은 거기에 함께 참여한 우리 몸과 외부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반응이자 그 관계가 정교화된 것입니다. 이 과정들은 우리 몸의 외부와 내부 사이를 (그리고 내부와 내부 사이를) 가로지르죠. 우리 의식의 현상학이란, 뉴런이 전달하는 신호에 포함된 관련 정보를 서로 비추는 거울 게임에서, 이러한 과정이 자신에게 부여한 이름에 불과하지 않을까요?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감상문

물리학자 머리 겔만은 양자역학은 우리 가운데 누구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사용할 줄은 아는 무척 신비롭고 당혹스러운 학문이다.”라고 말했다. 양자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선구적으로 제시했던 아인슈타인도, 20세기 위대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도 아무도 양자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썼다. 양자론을 아무도 이해하지 못한다니. 지금 이 순간에도 쓰고 있는 컴퓨터부터 원자력 발전소에 이르기까지 최신 기술의 기초가 되고, 공학자, 천체 물리학자, 우주학자, 생물학자들은 매일 이 이론을 사용하고 있는데 말이다. 심지어 고등학교 교과과정에도 이 이론의 기초가 포함되어 있다. 양자 이론이 탄생한 지 100년이 지났지만, 이는 지금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다. 신간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에서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는 이 수수께끼 같은 양자 이론이 세계의 실재모습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지, 양자 이론이 그려내는 현실 세계는 어떠한 모습인지를 진지하게 탐구한다. 로벨리의 탐구는 강한 바람이 부는 척박한 북해의 섬, 헬골란트에서 양자 이론을 꽃피운 젊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양자론의 탄생과 해석들, 그로 인한 혼란 그리고 그가 제시하는 오직 상호작용으로만 이루어진 세계의 실체, 양자론의 관계론적해석에까지 이른다. 이 여정의 전 과정은 놀라울 정도로 광활하고 방대하며, 과학과 철학의 영역을 경계 없이 넘나드는 통섭적 사고의 끝을 보여준다.